
“언어 대신 빛으로 시를 썼다”
-m%5E400%5E500%5E18978.jpg)
“이번에 전시하는 제 사진작품들은 국경을 넘지 못하는 언어 대신 빛으로 쓴 시입니다.”
‘노동의 새벽’이라는 시집으로 유명한 박노해(52ㆍ사진/연합) 시인이 10년만에 사진작가로 돌아왔다.
박 시인은 이라크와 팔레스타인 등 중동 지역을 떠돌았던 지난 10년간의 기록을 모아
내달 7~28일 서울 저동 갤러리M에서 사진전 ‘라 광야’를 개최한다.
1980년대 노동문학의 총아로 떠올랐던 박 시인은 1991년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 사건으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가 1998년에 풀려났다. 그후 10년간 중동 지역을 돌아다니며 무려
4만여장의 사진을 찍은 것. 이 가운데 전시회에서는 엄선된 37점의 사진이 공개된다.
7일 서울 신문로 ‘나눔문화’에서 기자들과 만난 박 시인은 “분쟁 현장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언어의 국경을 넘지 못하는 시가 아니라 사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사진이었다”며
사진가로 변신한 이유에 관해 얘기했다.
“어느 때부터인가 오래된 만년필을 든 손에 낡은 흑백 카메라가 함께 들렸습니다.
분쟁현장에서 힘없이 죽어가는 사람들이 가장 필요한 것도, 점령자나 독재자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도 카메라였습니다.”
그렇게 낡은 필름 카메라로 치열하게 찍어낸 수만 장의 사진에는
“한 장 한 장마다 단편소설 하나만큼의 사연이 들어있다”고 시인은 말했다.
그는 중동 지역이 세계에서 무장력이 가장 집중되고 긴장된 지역이라는 점에서
우리와 많이 닮았다고 했다.
“중동은 우리와 비슷하지만 우리에게 낯설고, 멀고, 오해받는 지역입니다.
지금까지 중동은 미국을 비롯한 서구 언론이 전하는 대로 알려져 왔지만
아프간 파병을 앞둔 이때에 이번 전시를 통해 중동 문명의 깊이와
중동의 진실이 무엇인지 알려졌으면 좋겠네요.”
박 시인으로서는 이번 전시가 실로 오래간만의 외출이기도 하다.
1984년 펴낸 첫 시집 ‘노동의 새벽’으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시인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7년 5개월을 복역한 후에는 좀처럼 언론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감옥에서 나와 보니 갑자기 너무 유명해져 버렸더군요. 과거를 팔아서
현재를 살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보잘것없는 노동자였던 예전의 내 모습으로 돌아가는 데
10년 정도면 되지 않겠는가 생각했는데 실제로 요즘 젊은 사람들은 저를 잘 모르더라고요.
자유롭고 편안합니다.”
시인은 “사진전이 끝나면 또다시 중동으로 떠날 것”이라며 “10년간 피와 눈물로 써온
시 4000여 편도 정리해 내년께 새 시집도 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02-2277-2438
아시아투데이 2009.12.10
전혜원 기자 hwjun@asiatoday.co.kr